반응형
ECS Blue/ Green Service를 배포하게 되면 Codedeploy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 솔직히 이걸 그대로 사용해서 상관없지만, 문제에서 요구하는 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삭제 후 새로 생성하도록 하겠습니다.
CodeDeploy Application Create
1. 애플리케이션 생성을 선택합니다. 그런 다음 애플리케이션 이름을 입력 후 컴퓨팅 플랫폼에서 ECS를 선택합니다. 그 후 애플리케이션 생성을 선택합니다.
CodeDeploy DeployGroup Create
1. 배포 그룹을 생성해주겠습니다. 배포 그룹 생성 선택
2. 배포 그룹 이름 입력 후 서비스 역할을 선택합니다.
서비스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.
#신뢰 관계
{
"Version": "2012-10-17",
"Statement": [
{
"Sid": "",
"Effect": "Allow",
"Principal": {
"Service": "codedeploy.amazonaws.com"
},
"Action": "sts:AssumeRole"
}
]
}
#연결되어있는 Policy
AWSCodeDeployRoleForECS
3. ECS Cluster와 ECS Service를 선택합니다.
4. 로드벨런서와 대상 그룹 1, 2를 선택합니다.
5. 배포 설정 부분에서 기본 값으로 두고 원래 개정 종료에서 1시간 → 5분으로 바꿉니다.
6. 배포 그룹 생성을 합니다.
배포 설정 부분에서 배포 구성이 3가지에 유형이 있어, 설명 드리겠습니다.
- CodeDeployDefault.ECSAllAtOne: 모든 트래픽을 업데이트된 Amazon ECS 컨테이너로 한 번에 이동합니다.
- Canary 배포: 카나리아 배포/릴리스를 사용하면 주어진 애플리케이션의 새 버전을 배포한 후 비즈니스 요구에 따라 사용자 정의 백분율 증분으로 트래픽을 전환합니다.
- Linear(선형): 카나리아 배포와 유사합니다. 해당 트래픽을 소화하는 만큼의 리소스를 배포하고, 시간에 따라서 Ver2의 배포를 점점 늘리는 형태를 말합니다.
- 생성 방법은 배포 구성에서 배포 구성 만들기를 선택한다음 만들면 됩니다.
반응형
'2022년 전에 정리한 문서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depipeline (Blue/Green Deploy Type) (0) | 2022.08.24 |
---|---|
CodePipeline(Rolling Deploy Type) (0) | 2022.08.24 |
Blue/Green Type Build Files(Codecommit) (0) | 2022.08.24 |
Rolling Type Build Files(Codecommit) (0) | 2022.08.24 |
CodeBuild Project Create(Console) (0) | 2022.08.24 |